아트스페이스 라프에서 열리는 <오늘의 회화, Individualism>전은 ‘여전히 MZ세대 작가들이 회화에 천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라는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그들은 다양하고 새로운 디지털 매체 속에서 굳이 왜 손으로 그리는 회화를 고집하는 가? 그렇다면 회화는 동시대를 담아내기에 과연 여전히 적합한 매체일까? 네 명의 MZ세대 작가 박소라, 어지원, 정태후, 최형섭의 회화를 통해 이러한 질문들에 답을 찾아보았다.
회화는 오랜 역사 동안 신화에서 혁명에 이르기까지 그 시대를 비추는 거대 서사 를 담아왔다. 근대 이후 나타난 추상회화는 그 자체로 모더니즘이라는 시대적 담론을 대표하는 현대사회의 문화적 아이콘이 되었다. 인류의 시작과 그 역사를 거의 나란히 해온 회화가 지금처럼 위상을 위협받았던 적은 없었다. 사진과 영상이 등장했을 때도 오히려 회화는 오리지널리티를 기반으로 그 가치가 더 높아졌었다. 그러나 ‘캔버스’ 자체를 낡고 지루한 재료로 바라보는 시선, ‘그리기’라는 행위 자 체가 앱으로 대체되는 기계화가 가속화되면서, 물감을 짜고 바르는 회화는 미디 어, 설치, 아카이브, 테크놀로지 등 포스트모던한 작업 방식들에 비해 진부한 장르 가 되어버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터넷과 가상세계, 펜보다 버튼, 종이보다 모니터가 더 친숙 한 MZ세대들에 의해 회화는 계속되고 있다. 라프는 각기 다른 소재와 스타일로 여 전히 붓을 들고 캔버스 앞에 앉아있는 네 명의 MZ세대 페인터들의 작품들을 전시 하면서, 이들을 관통하는 ‘인디비주얼리즘’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오늘의 ‘회화’를 점검해 본다.
박소라와 어지원은 공간을 소재로 작업한다. 박소라는 전시공간을 어지원은 공사 현장을 그린다. 박소라의 그림 속에서는 완벽히 통제된 흠없는 갤러리 안에 공공 질서를 준수하는 관객이 전시를 관람한다. 언뜻 보면 정확하게 전시장 인테리어와 전시 작품을 재현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 안에는 관객을 은유하는 자신의 발 자국이 동선을 따라 그어져 있다. 직선으로 그려진 크고 엄격한 전시공간에 비해 곡선으로 미미하게 표현된 순응적 관람 루트는 감시와 규율을 내면화한 현대 문화 인의 유령적 실존을 연상케 하는 흔적이다.